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단백뇨,거품뇨가 생기는 이유와 관리방법

by 건강박사입니다 2025. 3. 22.
반응형

 

단백뇨가 나온는 이유와 해결방법

 

단백뇨는 소변에 단백질이 과도하게 섞여 나오는 상태를 말합니다.

건강한 콩팥은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막아주지만, 콩팥에 이상이 생기거나 콩팥이 나빠지면 단백질이 걸러지지 않고 소변으로 배출될 수 있습니다. 콩팥 기능에 문제가 생겼다는 중요한 신호일 수 있습니다.

거품이 많이 발생시 소변검사를 통해 단백뇨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단백뇨의 원인과 관리방법에 대해 자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

 

단백뇨의 주요 원인

  • 고혈압과 당뇨병: 콩팥 모세혈관 손상을 유발, 유전적인 원인
  • 사구체신염, 루푸스 등 여러가지 콩팥질환
  • 일부 약물 부작용 또는 과격한 운동, 스트레스, 고열, 단백질 과다 섭취
  • 콩팥이나 췌장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도 있음
  • 단백질 성분때문에 나올 단백뇨가 나올수 있는데 하루 평균 150ml가 배출됨
  • 소변이 빠르게 떨어지면 거품이 더 많이 발생하고 남자가 더 자주 발생하는데 온도와도 연관이 있음
  • 운동이나 감기로 인해 체온이 올라가면 소변의 거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짐

거품뇨는 단백뇨일 가능성이 많나요?

소변에 거품이 생긴다고 해서 모두 단백뇨는 아닙니다.

지속적으로 거품이 많이 생기고 잘 사라지지 않는다면 단백질이 섞여 나오는 단백뇨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소변 검사를 꼭 해봐야 합니다.

먹는 음식, 온도, 단백질 과다 섭취 등 연관이 있습니다

 

단백뇨가 나왔다면 콩팥 검사를 꼭 해야 할까?

일시적인 단백뇨일 수도 있지만, 반복되거나 수치가 높다면 콩팥 기능 검사가 필요합니다.

자주 거품뇨가 발생한다면 병원에 가서 검사를 해야하고 비용이 높지 않으니 바로 검사하시기 바랍니다

보통 다음과 같은 검사를 시행합니다.

  • 소변 검사
  • 혈액 검사 (크레아티닌, 사구체 여과율 eGFR)
  • 콩팥 초음파

콩팥을 보호하는 방법

  • 혈압과 혈당 관리: 콩팥 손상의 주요 원인 예방, 가장 중요한 요인
  • 저염식: 나트륨 섭취 적절하게 먹기
  • 충분한 수분 섭취: 하루 1.5~2리터 (개인 상태에 따라 조절,)
  • 약물 주의: 장기 복용하는 진통제나 건강보조식품(특히 소염진통제)
  • 금연, 적절한 운동
  • 단백질 한끼에 너무 많이 먹지말기(단백질 나누어 먹기)
  • 자연에서 나온 단백질이 아닌 공장에서 만들어진 단백질은 자제하기

단백뇨는 콩팥이 나빠졌다는 뜻일까?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닙니다.

운동, 열, 스트레스 등으로도 단백뇨가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단백뇨가 지속적이고 고농도로 나오는 경우 콩팥 기능에 이상이 생겼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빠른 검사가 필요합니다.

앞으로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 정기적인 소변 및 혈액 검사
  • 기저 질환(고혈압, 당뇨 등)의 철저한 관리
  • 단백질 섭취 조절: 전문 영양사의 상담 권장
  • 신장내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 및 치료

단백뇨는 우리 몸이 보내는 작은 경고일 수 있습니다.

단백뇨는 콩팥이 나빠졌다는 신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백뇨 환자중 30%정도가 거품이 발생합니다

영양제 과다섭취를 줄여야하고, 진통제중 특히 소염진통제는 콩팥에 무리가 많이 갑니다

혈당과 혈압과의 연관도 있어 혈당관리 혈압관리가 필요합니다.